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

회전율(자산관리) 비율, 궁금? 기업 재무 비율분석 중 "자산관리(Asset Management(Turnover)) "의 분석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는데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재고자산회전율(Inventory Turnover) ■ 재고자산회전율=매출원가/재고 ㆍ기업이 일년동안 몇 번 재고자산을 회전하였는지 나타냅니다. ㆍ회전율이 높다면→ 재고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였다고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단, 재고자산의 부족으로 매출기회 잃지 않은 조건하에서 입니다. ◇ 평균재고일(Day's Sales in Inventory) ■ 평균재고일=365일/재고자산회전율 ㆍ재고자산을 1회 회전하는데 필요한 기간을 뜻합니다. ◇ 외상매출금회전율(Reveivables Turnover) ■ 외상매출금회전율=순 신용매출액/.. 2022. 10. 9.
자본구조 비율, 궁금? 기업 재무 비율분석 중 "자본구조(Capital Structure) "의 분석은 기업의 장기적인 채무변제 능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총부채비율(Total Debt Ratio) ■ 총부채비율=(총자사-총자기자본)/총자산 ◇ 자기자본부채비율(Debt-Equity Ratio) ■ 자기자본부채비율=총부채/자기자본 ◇ 자기자본승수(Equity Multiplier) ■ 자기자본승수=총자산/총자기자본 ■ 자기자본승수=1+(총부채/총자기자본) ■ 자기자본승수=1+자기자본부채비율 ◇ 장기부채비율(Long-term Debt Ratio) ■ 장기부채비율=장기부채/(장기부채+총자기자본) ㆍ유동부채는 시간대비 급격하게 변하는 편이며, 기업의 부채정책보다 거래관행을 나타냅니다. ㆍ그러므로, 장기부채를 보는 것에 평가자들이 .. 2022. 10. 9.
유동성 비율, 궁금? 기업 재무 비율분석 중 "유동성(Liquidity) "의 분석은 기업의 단기적인 채무 변제능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유동비율 (Current Ratio) ■ 유동비율=유동자사/유동부채 ㆍ단기유동성을 측정합니다. ex)유동비율 1.5="1원당 1.5원의 유동자산 보유함" ㆍ유동비율은 보통 1이상입니다. ㆍ유동비율은 금융거래에 영향을 받습니다. ㆍ기업이 부채발생능력이 있다면, 유동비율이 낮은것은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ㆍ유동비율이 높으면→ 채권자가 유리합니다. ㆍ유동비율이 과도하게 높으면→ 기업은 현금과 유동자산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당좌비율(Quick Ratio) ■ 당좌비율=(유동자산-재고자산)/유동부채 ㆍ당좌비율은 유동비율과 유사하나, 재고자산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ㆍ재고자산.. 2022. 10. 9.
윈도우 특수문자 모음(한자키) ◇ 윈도우 자음(ㄱ,ㄴ,ㄷ,ㄹ,...)+한자(key) 특수문자 모음 ㆍ윈도우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특수문자는 문서작성 시에 활용하면 편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ㆍ하지만, 막상 활용할 때 원하는 특수문자가 어디에 있는지 자음을 여러개 눌러보면서 찾아 헤맬때가 종종있습니다. ㆍ업무용 PC의 바탕화면에 특수문자 모음이 모두 저장된 메모장파일을 보관해두면 유용합니다. ㆍ문서작업 전 메모장파일을 열어두고 복사&붙여넣기를 해서 활용하시면 업무에 도움이 됩니다. ㆍ의외로 활용도가 높아서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 Tip ㆍ자음+한자키를 사용하실 때 Tab키를 활용하시면 특수문자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ㆍ아래와 같은 창이 한번에 팝업되어 특수문자를 선택하기 좋습니다. ㆍ또한, 방향키를 이동한 뒤.. 2022. 10. 9.
재무제표의 현금흐름, 궁금? *재무제표에서 현금흐름이란 어떤 의미일까요? 1)경영자가 재무제표에서 추출 해야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2) 기업이 벌어들이는 현금에서 지출하는 현금을 뺀 것입니다. 3) 기업의 비즈니스 자체에서 현금을 얼마나 창출할 수 있는지가 주요관심 대상입니다. 4) 재무제표에서 현금흐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습니다. 5) 재무제표에서 현금을 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현금수지계산서(Statement of cash flows)는 현금흐름에 대해 알고자하는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합니다 7) 현금흐름과 순운전자본은 다른개념입니다. *자산발생 현금흐름 (CFFA: Cash flow from assets) 1) CFFA=채권자에 대한 현금흐름+주주에 대한 현금흐름 2) 영업현금흐름(Operating Cash .. 2022. 10. 5.
대차대조표, 순운전자본, 유동성 궁금? 기업의 대차대조표란 무엇일까요? 1) 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특정시점에 정리한 것입니다. 2)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기업의 부채와 자본을 특정시점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자본=자산-부채) 3) 자산항목은 배열은 유동성이 감소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유동자산(Current assets): 일년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 될 수 있는 자산입니다 ex) 재고자산, 현금, 외상매출 등 -고정자산(Fixed assets): 현금화하기 어렵고 오랫동안 존재가능한 자산입니다 ex) 지식재산, 특허, 설비 등 -유동부채(Current liabilities):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부채입니다 -장기부채(Long-term liabilities): 만기가 1년 이후 도래하는 부채입니다 4) 대차대조표 항등식: .. 2022. 10. 4.
반응형